티스토리 뷰

반응형

이동 전화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서로의 생각이나 하고 싶은 말을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를 상상해 보면 사회가 안정하게 돌아갈 수 없을 것이며,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과의 통신도 불가능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런 불편한 사회를 편하게 하기 위해 언어가 개발되고, 떨어진 사람과 통신하기 위해서 다양한 통신 방식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몇십년 전에는 상상도 못 했던 통신방식, 즉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그런 시대를 넘어, 화상으로 통화하거나, 여러 자료를 보내고, 데이터가 큰 영상 등도 송수신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이동전화기(핸드폰)는 이제 누구나, 어디서든, 언제나 사용할 수 있는 필수품이 되었습니다.


[그림 1] - 자동차로 이동하면서 문자를 보내고 있는 모습. 이동통신의 발전으로 가능해졌습니다.


 이동통신의 역사는 무선통신의 역사와 일치하고 있으며, 1895년 이탈리아의 발명가 마르코니는 이탈리아 볼로냐, 자택에서 2.4km 떨어진 곳으로 무선 전파신호를 보내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1897년에는 최초로 해상통신에 응용하여 통신의 가능성을 열었고, 1899년 전자파에 의한 안테나와 송신기를 사용하여 영국에서 프랑스까지 50km 무선 전파를 수신하는 데 성공합니다. 영국해협을 통과하는 선박 간의 무선 전파를 통한 통신에 성공한 이후, 새로운 무선통신 방식과 서비스들이 전 세계적으로 개발되어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이동통신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증가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은 새로운 디지털 기술 등의 개발로 인하여 가볍고, 작고, 저렴한 단말기의 보급과 기지국 장비가 저가 생산되어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세계 이동 통신의 역사

 인간의 사고력이 점진적으로 변화되어 가면서 인간과 인간의 대화 방법이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 또는 이동하고 있는 사람과의 통신을 간절히 요구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이동하고 있는 사람과의 통신 전달 이론을 마르코니의 예시 및 증명 이후, 계속된 발전을 거듭하였습니다. 제 1차세계대전 이후, 무선 전신에서 무선 전화로,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해상용에서 육상용으로 발전하게 되었으며, 미국과 유럽의 이동통신 역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미국 

 1921년 디트로이트 경찰국에서 2MHz의 AM 방식으로 세계 최초로 차량 전화가 개시되었습니다. 무전기와 비슷하였고, 교환원이 연결해주면 통화가 되었습니다. 이후 1946년 일반인들을 위한 이동 전화가 서비스 개시되었습니다. 루이지애나주에서 아날로그 방식의 150 MH, 3채널로 서비스하였습니다. 교환 없이 자유롭게 통화할 수 있는 자동식 이동전화는 1964년 Dial System의 MTS 방식으로 개발되었습니다. 1969년에는 반경 300km의 광범위한 지역을 서비스하는 450MHz의 MK 시스템, IMTS방식이 개발되었습니다. 그러나 보다 진보된 셀룰러 핸드폰의 상용화는 1979년 일본의 NTT에서 시작되었으며, 미국은 1982년, 우리나라는 1984년에 본격적으로 서비스되었습니다.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의 전환은 1992년 TDMA 방식을 채택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유럽은 GSM 방식으로, 우리나라는 CDMA 방식으로 개발되어서 1996년 서비스를 개시하였습니다.  


유럽

 1981년 스웨덴에서 아날로그 셀룰러 방식의 이동전화시스템이 최초로 서비스된 이후, 유럽의 각 나라는 각각 다른 시스템 표준으로 서비스하였습니다. 따라서 국가 상호 간의 호환성이 없는 관계로, 다른 기지국에서 연결되는 로밍서비스가 되지 않아 다른 나라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1982년 GSM 무선 접속 방식을 개발하였고, 1993년 상용화에 성공하여 유럽 전역에 공동으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GSM 방식의 주파수는 900MHz 대역을 사용하며, 가입자 식별을 위한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를 도입하여 단말기와 사용자의 이동성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GSM망은 97개국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으며, 약 3000만명 중의 2000만명 이상이 유럽이고 700만명이 아시아의 가입자로 되어있습니다. 유럽에서 추구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UMTS로 시작하였습니다. UMTS는 무선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유럽 표준으로, 2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고, 음성 품질은 유선망과 동등한 성능을 가지는 CDMA 방식을 선택하였습니다. 무선 접속 방식의 비 동기방식인 W-CDMA를 채택하여서 2002년 일부 국가에 상용화하였습니다.


한국

 1961년 8월에 아날로그 방식의 수동식 이동통신으로 수도권에 정부 기관용으로 먼저 사용되었습니다. 1973년 7월에 기계식 ITMS 방식이 사용되었고, 1975년 3월에는 기계식 NMRS 방식이, 1976년 6월에는 반전 자식의 IMTS방식이 사용되었습니다. 1984년 5월 모토로라의 셀룰러 이동 전화 시스템인 EMX시스템, 즉, AMPS 방식의 시스템을 도입하여 수도권 지역에 공중용으로 3000명의 가입자와 96채널, 19개의 기지국으로 차량 전화 서비스를 개시하였습니다. 1988년 4월에는 휴대용 이동전화 서비스를 개시하였습니다. 1990년 3월에는 Autoplex-1000시스템을 도입하여 55개의 시에 서비스를 확장하였으며, 1991년 전국 77개 도시로 확대되었습니다. 1995년 8월에는 최초로 CDMA 디지털 방식을 개발하였고, 1996년 1월에 상용 서비스를 개시하였습니다. 이후 CDMA-2000과 WCDMA라는 광대역 기술은 1998년 개발이 되었지만, 대부분 3G 데이터망을 사용하지 않아 본격적인 도입과 용어의 사용은 2010년대부터 시작했습니다. 이후 LTE 기술이 개발되고 5G 기술도 연구되면서, 우리나라는 통신 강국으로 부상하였습니다.

 

 

 

 

다중 접속 이론, FDMA, TDMA, CDMA

다중 무선 설비 다중 무선 설비란 하나의 통신회선에 의해서 2개 이상의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 방식으로 정의됩니다. 유한한 자원인 전파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할당된 주파

outinfo.co.kr

 

무전기의 정의와 종류, GPS

무전기 무전기는 전파를 이용해서 음성을 서로 송수신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입니다. 음성 이외에도 영상데이터도 송수신할 수 있습니다. 크기와 이동 여부에 따라서 손에 쥐고 사용

outinfo.co.kr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