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디지털에서 수의 표현

 컴퓨터는 012진법으로 정보를 읽고 쓰게 됩니다. 이러한 2진법은 01로 모든 수를 표현합니다. 0, 1, 10(2), 11(3), 100(4) … 순으로 가게 됩니다. 괄호 안에 수는 10진법으로 변환한 값입니다. 이런 2진수 이외에도 0~7까지 사용하는 8진수, 0~9 그리고 A~F까지 사용하는 16진수 등이 있으며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것은 10진법을 주로 사용합니다. 시간에서는 60진법을 쓰기도 합니다.


2진수의 연산

 2진수의 덧셈은 일반 10진수와 같습니다. 0+0=0, 0+1=1, 1+1=10처럼 계산됩니다. 2진법에서는 조금 특이한 개념이 사용됩니다. 보수라는 개념으로 1의 보수, 2의 보스가 주로 사용됩니다. 만약 a=1010001이라는 7자리의 이진수가 있다고 합시다. 7자리 모두 1로 채우면 b=1111111입니다. a에 대한 1의 보수는 b에서 a를 뺀 값으로 c=0101110이 됩니다. ac는 같은 자릿수의 01이 서로 바뀐 것입니다. 01, 10으로 바꾸면 그 이진수에 대한 1의 보수가 구해지는 것입니다. 1의 보수에 1을 더하면 2의 보수가 되며 대부분 음수처럼 취급됩니다.


불대수 Boolean Algebra

 발음에 따라서 부울이라고 말하기도 하며, 불리언, 불린 값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인 수가 아니라 참(1)과 거짓(0), 두 개의 값만을 가지는 대수체계이며, 디지털 회로와 시스템 연산을 표현, 분석하는 데 아주 유용한 방법입니다.


논리게이트(논리회로)

 계산에 이용되는 AND, OR, NOT, XOR 등의 기본적인 논리연산을 회로로 구현한 것입니다. 연산으로 이용하기도 하며 불대수를 물리적으로 표현한 장치이기도 합니다.


AND

 AND는 변수 간의 곱을 표시하는 연산자로 일반적으로 점(·)을 사용하여 표기합니다. 변수 AB에 대한 곱셈은 AB, A×B, A&B, A∩B 등으로 표시가 가능합니다. 또한, ANDAB가 모두 1(True)이 되는 경우 출력을 1이 되며, 그 밖의 0, 0/0, 1/1, 0의 경우의 출력은 모두 0이 되는 논리회로입니다.


OR

 OR는 변수 간의 합을 표시하는 연산자로 일반적으로 + 기호를 사용하여 표기합니다. 변수 AB에 대한 곱셈은 A+B, A∪B 등으로 표시합니다. 또한, ORAB 둘 중 1개라도 1(True)이 되는 경우, 1, 0/0, 1/1, 1 같은 경우에는 출력이 1이 되게 됩니다. 그 밖의 0, 0인 경우에만 0을 출력합니다.


NOT

 NOT은 어떤 변수의 부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1(True)0(False)으로, 01로 변환하는 연산자입니다. 변수 위에 ‘(Prime)을 붙이거나 -(Bar)를 붙여 표현합니다.


NAND

 NANDNOTAND의 복합어로 변수 간의 AND 결과에 NOT을 적용한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변수 AB가 모두 1이 되는 경우에는 출력이 0이 되고, 그 밖의 0, 0/0, 1/1, 0의 경우의 출력은 모두 1이 되는 논리회로입니다.


NOR

 NORNOTOR의 복합어로 변수 간의 OR 결과에 NOT을 적용한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변수 AB 둘 중 1개라도 1(True)이 되는 경우, 1, 0/0, 1/1, 1의 경우에는 출력이 0이 되게 됩니다. 그 밖의 0, 0인 경우에만 1을 출력합니다.


XOR

 XOR은 배타적(exclusive) OR의 줄인 말로 두 개의 입력 변수가 값이 같으면 출력이 0이 되고, 다르면 1이 됩니다. , 0, 0/1, 1인 경우에만 0을 출력하고, 0, 1/1, 0의 경우에는 1을 출력합니다.


XNOR

 XNORNOTXOR의 복합어로 변수 간의 XOR 결과에 NOT을 적용한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변수 AB가 값이 같으면 출력이 1이 되고, 다르면 0이 됩니다. , 0, 0/1, 1인 경우에만 1을 출력하고, 0, 1/1, 0의 경우에는 0을 출력합니다.


볼 대수 기본 법칙

 위의 계산 방법들이 있으며 몇 가지 규칙을 따르게 됩니다. 대부분은 일반적인 수학의 사칙연산에서도 적용되는 기본 법칙들입니다.


항등 법칙

 X+0=X, X+1=1 X·1=X, X·0=0입니다. 불대수에는 01밖에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교환 법칙

 X+Y=Y+X, X·Y=Y·X입니다. 일반적인 수학과 같이 ANDOR 안에서 연산 순서가 바뀌어도 식이 성립합니다.


멱등 법칙

 X·X=X, X+X=X입니다. 어떤 변수에 자기 자신을 AND, OR 연산하면 다시 자기 자신이 됩니다. 0·0=0, 1+1=1이게 됩니다.


결합 법칙

 X·(Y·Z)=(X·Y)·Z, X+(Y+Z)=(X+Y)+Z입니다. 세 변수 간의 연산 결과는 연산 순서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분배 법칙

 X(Y+Z)=XY+XZ, (X+Y)(X+Z)=X(Y+Z) 입니다. 역시 일반적인 수학과 같이 적용됩니다. 두 번째 식에서는 멱등법칙도 적용됩니다.


보원의 법칙

 X·X’=0, X+X’=1입니다. 어떤 변수와 그의 부정은 무조건 10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적용됩니다.


드모르간 법칙

 (X·Y)‘=X’+Y’, (X+Y)‘=X’·Y’입니다. 집합에서 유명한 법칙으로 식의 전체부정 경우 각 변수에 부정하고 ANDORORAND로 바꿔줍니다.


 이런 기본 법칙 이외에도 기본 법칙을 활용한 흡수 법칙(X+XY=X, X+X’Y=X+Y), 합의 정리(ab+b'c+ac=ab+b'c, (a+b)(b'+c)(a+c)=(a+b)(b'+c)) 등이 있습니다.

 

 

 

소자들을 활용한 회로의 종류

선형회로와 비선형 회로 기본적으로 저항, 리액터, 콘덴서와 같이 수동소자만을 사용한 회로를 선형회로라고 합니다. 전류와 전압의 관계가 선으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수동소자를 선형소자

outinfo.co.kr

 

전기의 정체

원자의 구조 세상의 모든 물질은 매우 작은 분자 또는 원자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양전기를 띄는 원자핵과 그 주위를 돌고 있는 음전기를 띈 몇 개의 전자들로 구성되어 있습니

outinfo.co.kr

 

반응형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파수와 전파의 성질  (0) 2023.07.08
전파가 발생하는 과정  (0) 2023.07.07
소자들을 활용한 회로의 종류  (0) 2023.07.05
전기회로의 재료, 전기소자  (0) 2023.07.04
둘이서 함께, 전기장과 자기장  (0) 2023.07.03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